금나라를 위해 장렬히 전사한 곽하마

2024. 5. 16. 12:07역사

반응형

금나라와 몽골의 전쟁이 시작된후, 일방적으로 밀리던 금나라는 역시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몽골과 대치했습니다.

칭기즈칸이 어느정도 금나라 정벌에 성과를 낸후 서쪽으로 이동해 호라즘 왕국과 전쟁을 시작했을때 금나라는 빠르게 이것을 알아채고 그동안 잃어버린 곳들을 수복했으며, 결국 20여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밀고밀리는 대치가 이어졌습니다.

 

 

그렇지만 결국 닥닥 긁어모은 금나라의 주력군이 삼봉산 전투에서 전멸하고, 완전히 수세에 몰리게 되자 금나라의 수도였던 개봉을 버리고 애종은 채주로 도망가야했으며 결국 개봉을 지키던 장수는 몽골에 항복해 금나라의 모든 종실들과 비빈들이 포로가 되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채주로 쫓겨간 애종은 결국 겹겹이 포위되어 송과 몽골 연합군에 의해 채주성이 함락되었고, 애종이 자살하고 완안종린에게 양위했지만 결국 난전끝에 전사하고 말았으니 금나라는 완전히 멸망하고 만 것입니다.

 

금나라는 역사에서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지만, 서쪽의 감숙성 일대에서는 곽하마가 분전하면서 버티고 있었습니다.

이미 금나라의 멸망을 지켜본 장수들이 거의 모두 몽골에 항복하고 있었지만 곽하마는 항복을 거부하면서 금나라가 망한후 2년까지 자신이 지키던 공주를 지키며 항전중이었습니다.

 

곽하마는 원래 형이던 곽록대와 회주를 지키고 있었는데, 당시 금나라의 변방을 침공해들어온 서하와 대치중이었습니다.

몽골의 침략에도 수수방관하던 금나라를 원망하며 전쟁을 시작한 서하군이 회주성을 함락하며 형제는 서하로 끌려갔는데, 형은 결국 죽고 곽하마만 살아남아 금나라로 돌아와 회주일대를 지키는 장군이 된 것입니다.

곽하마는 관중일대로 쳐들어온 서하군에 맞서 큰 전과를 올렸고, 뛰어난 지휘와 함께 큰 전과를 올려 명성을 떨쳤습니다. 이후에는 서하의 수중에 있던 회주성을 공격해 다시 점령했고, 한동안 서하군은 금의 변방을 침공하지 못할만큼 곽하마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결국 채주성에서 금나라의 마지막 황제 애종이 자결하고, 황위를 이어받은 완안승린마저 전투로 사망하면서 금나라는 완전히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곽하마가 주둔하고 있던 감숙성 일대까지 이 소식이 전해져 거의 모든 성들이 몽골에 투항하는 와중에서도 곽하마는 끝까지 성을 사수하며 몽골에 항복하기를 거부했던 것입니다.

 

결국 몽골군의 총공세가 이어졌고, 포위된 곽하마는 끝까지 성을 지켜냈습니다.

하지만 끝없이 몰려오는 대군의 공격을 막아낼수 없었고, 마지막을 직감한 곽하마는 성안의 모든 금과 은, 철과 같은 금속을 모아 모두 무기로 만들었으며 소와 말을 잡아 병사들에게 마지막 만찬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성안의 재화를 모아 전부 불태우며 몽골에 넘기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성안에 있던 장교들의 부인과 딸들을 모아 건물에 넣고 불을 질렀습니다. 곽하마의 아내는 살려달라며 빌었지만 그는 아내를 먼저 죽이며 피도 눈물도 없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결국 성벽이 무너져 몽골군이 쏟아져 들어왔는데, 치열하게 벌어진 시가전에서도 무수한 사상자가 발생하며 몽골군은 쉽게 이길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뚜렷한 전력차를 보이며 결국 수비군이 죽어갔고, 화살과 무기가 떨어진 병사들은 불길에 뛰어들어 자결하는 쪽을 택했다고 전해집니다.

곽하마는 문을 떼어내 자신의 몸을 가린채 큰 활을 쏘아 몽골군에 쏘았는데 거의 모든 화살이 적중해 수많은 몽골군이 죽어갔습니다. 200~300발의 화살을 날려 모두 맞히자 몽골군이 쉽게 접근하지 못할 정도였는데, 결국 화살이 떨어지고 힘도 다한끝에 활과 무기를 불에 던지고 투신해 결국 전사했다고 합니다.

결국 이 전투에서는 단 한명의 투항자도 없이 모든 수비군들이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했다고 하니, 그 치열한 면을 조금이라도 엿볼수 있겠습니다.

 

이미 망해버린 금나라를 위해 죽은 곽하마는 결국 나중에 금나라의 뒤를 이은 청나라 시기에도 충신으로 대접받으며 그 이름을 알렸지만 그의 생전 모습을 너무 처절하기까지 합니다.

한족으로 알려진 곽하마가 이민족이었던 금나라 왕조를 위해 이렇게 치열하게 목숨까지 바쳤던 정확한 이유를 알수는 없지만, 그래도 그의 분전은 나중에 재평가를 받을만큼 가치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반응형